당뇨병의 정의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혹은 분비되는 인슐린이 체내에서 적절하게 작용되지 못함으로써 신장의 재흡수 능력이 떨어져 소변으로 포도당이 나오는 고혈당증.
당뇨병의 원인
- 유전적 요인에 비만, 노화, 임신, 감염, 수술, 스트레스, 약물남용 등의 환경적요인 함께 작용.
당뇨병의 증상
- 다뇨(多尿) : 포도당이 물과 함께 빠져 나가기에 소변량이 많고 소변을 자주 본다.
- 다음(多飮) : 소변을 자주 보기에 수분이 모자라게 되어 물을 자주 마신다.
- 다식(多食) : 섭취한 음식물이 몸에서 충분이 이용되지 않기에 허기가 져서 자주 먹게된다.
- 체중감소 : 포도당이 소변으로 빠져 나기기에 먹어도 오히려 체중은 줄어든다.
- 피로감 : 에너지원이 포도당을 이용하지 못하게되어 기운이 없게 된다.
당뇨병의 관리 - 약물 치료 + 식사 관리 + 운동
- 당뇨병의 관리방법으로는 식사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이 있으며, 각 개인의 증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은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 이중 당뇨관리의 가장 기본은 식사관리이며 당뇨병의 식사요법으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정상 혈당 유지 및 정상적인 혈중지질과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상 혈당 기준
당뇨병의 진단기준 | 경구포도당부하 2시간 후 혈당 | |||
---|---|---|---|---|
<140 | 140-199 | ≥200 | ||
공복혈당 | <100 | 정상 | (내당능장애) 당뇨병전단계 |
|
100-125 | (공복혈당장애) | |||
≥126 | 당뇨병 |
※자료출처 : 질병관리본부
당뇨병의 식사원칙
- 매일 6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합니다.
- 매끼 일정한 시간에 정해진 분량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
- 표준체중을 유지합니다.
- 단당류의 섭취를 삼가합니다.
-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을 줄입니다.
-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를 합니다.
- 술은 되도록 삼가합니다.
- 지나치게 짠 음식은 피하고 되도록 싱겁게 조리합니다.
표준체중 계산법
- 신장 160cm 이상 : 표준체중(kg)= [신장(cm)-100] × 0.9
- 신장 150∼159cm : 표준체중(kg)= [신장(cm)-150] × 0.5 + 50
- 신장 150cm 이하 : 표준체중(kg)= 신장(cm)-100
올바른 조리방법
- 조리시에는 설탕의 사용을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 신선한 제철음식을 준비하고 가공식품은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 고기류는 기름을 떼어내고 닭고기는 껍질을 벗긴 후 조리하도록 한다.
- 기름사용이 많은 튀김, 전 대신 가급적이면 구이, 찜 등의 조리법을 활용한다.
외식시 주의사항
- 아침 식사는 반드시 섭취하며, 가급적 외식의 횟수를 줄인다.
- 과식하지 말고 본인의 허용 열량에 맞는 음식을 선택한다.
- 외식에서 부족한 식품은 다른 끼니에 보충하도록 한다.
- 다양한 식품선택으로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하도록 한다.
- 동물성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선택을 피한다.
- 자극적인 음식, 짠 음식, 지나치게 단음식은 피한다.
- 외식시에는 모든 식품군이 골고루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식사하도록 한다.
- 기름이 많은 음식(튀김, 중국요리 등), 성분을 알 수 없는 음식은 가급적 피한다.
- 최종수정일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