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천적 장애에 대한 신체 기능의 퇴행을 예방하고 현재 건강상태 유지 및 신체 · 정신적 재활을 통하여 재가 장애인의 삶의 의욕고취 및 사회복귀 도모
찾아가는 재활서비스
대상자 발굴 및 등록
- 대상자 기준
- 뇌병변, 지체 1~3급 중증재가 장애인
- 거동이 불가능하여 정기적인 재활서비스 필요도가 높은 경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우선등록
- 기간 : 연중
- 방법
- 관공서 및 유관기관을 통한 등록
- 의료기관을 통한 의뢰
대상군별 서비스제공
- 집중관리군
- 기능평가(MBI)49점 이하 / 삶의질평가(EQ-5D) 0.808점 미만)
- 대상자 평가 및 요구도파악, 재활운동 교육 및 건강관리 정보제공
- 만성질환 관리 연계
- 정기관리군
- 정기적인 재활서비스 필요도가 낮은 경우
- 기능평가(MBI)50점~74점 / 삶의질평가(EQ-5D) 0.808점 이상
- 대상자 평가 및 요구도파악, 재활운동 교육 및 건강관리 정보제공
- 만성질환 관리 연계
- 자기역량지원군
- 기능평가(MBI)75점 이상
- 자가건강운동, 복지정보 및 각종 정보제공
- 만성질환 관리 연계
인지기능향상 재활교실
- 대상
- 관내등록장애인(뇌병변, 지체 장애인)
- 재활의 필요성을 충분히 느끼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을 잘 몰라 퇴원 후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지 않은 사람
-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하거나 보호자 동행이 가능한 분
- 장소 : 보건소, 장애인복지관 등
- 횟수 : 주 1회 8주간 운영(연 2회기 운영)
- 교육방법 : 강연
- 내용 : 퇴원 후 지속적인 재활로 현재 남아있는 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켜 일상에서 자가관리 능력을 높이고 2차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재활운동지도
장애발생 예방교실
- 대상 : 지역사회 주민(장애에 취약한 허약노인)
- 기간 : 연중
- 장소 : 건강마을만들기 참여마을(20개소)
- 내용 : 자가관리 및 낙상예방 등 장애발생 예방교육
어린이 장애체험교실
- 대상
- 어린이 건강체험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유아 및 어린이
- 관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만 5세 ~ 10세)
- 기간 : 연중(48회 이상)
- 장소 : 어린이 건강체험관
- 내용
- 장애의 종류와 이해
- 장애인 보장구 사용방법등
- 최종수정일2020-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