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화 용어 사용유래?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 누출사고에 따른 국제원자력 안전자문단(insag)의 보고서(post Accident on the cher Accident)에서 처음 사용
국제원자력자문단의 『안전문화』의미
조직과 개인의 자세와 품성이 결집된 것으로 모든 개인의 헌신과 책임이 요구되는 것
우리나라에서의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 1995년 이전 : 단순히 기업의 이미지 관리차워과 근로자의 개인보상차원에 국한되어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 하였으며, 민간 주도차원의 비체계적인 활동이었음.
- 1995년 이후 : '95.6.25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정부주도로 안전관련 법령 제정과 함께 효율적인 재난관리 협력체계구축과 관련하여 안전문화를 정의
- 우리나라에서의 『안전문화』의미 :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충만되어 모든 활동속에서 안전이 체질화 되고 그 가치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태도등의 총체적 의미
- 안전관리 3대원칙
- 행동양식의 일차적 변화
- 행동양식의 일차적 변화
- 안전의식의 무의식적 표출
국내, 국외의 안전문화 개념?
기존의 의식, 행동의 변화를 통한 국민생활 전반에 안전태도와 관행, 의식이 체질화되어 가치관으로 정착되도록 하는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