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광대 놀이

신라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자인 단오제는 유교적인 의식을 바탕으로 행하여져 왔으므로 제례의 축문이나 영신사, 홀기(笏記)등은 소상한 기록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그 외 잡다한 행사들은 서민들이 주도한 민속으로 구전에 의한 전승에 의존해왔다.『자인읍지(慈仁邑誌)』에 '한장군이 여원무를 설치하고 배우잡희를 벌였다. 왜구들이 산에서 내려와 구경하고 있을 때 칼을 휘둘러 왜구를 섬멸하였다. 고을 사람들이 그 뜻을 추모하여 도천산 서편 기슭에 신당을 건립하고 단오날 동남2명을 여장시켜 여원무를 추게했고 배우잡희도 열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옛날부터 배우를 광대라 불러왔고 고려사에도 탈놀이하는 자를 광대라 했으며, 줄타는 사람, 판소리꾼, 일반 배우 들을 범칭 배우라 불러왔으니 읍지에 기록된 배우도 흔히 부르는 광대로 해석 할 수 있다.

자인은 원효대사가 출생하여자라고 출가한 곳이다. 원효는 파계한 뒤 당시의 광대들이 춤출 때 쓰던 박의 형상을 본따서 도구를 만들고, 그것을 가지고 추는 무애무로 전국을 누비면서 국민들을 계도했는데 후에는 이 춤이 여기 (女妓)들의 향약무로 정비되어 오락화되었다고 한다. 한장군이 창작해 낸 여원무는 바로 이 무애무를 본딴 것이다.

그런대,'設女圓舞又陳排優雜戱'에서 보듯이 춤과 배우잡희는 별개로 행해진 형태임을 알수 있다. 한편에서는 무애무의 변형인 여원무를 추고, 한편에서는 배우들의 잡희(춤과 음악이 가미된 일종의 가면극)가 어우러져 배우 잡희가 단순히 여원무의 들러리를 위한 무희가 아님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배우잡희는 기록이 없어 변천과정을 정확히 고증할 수 없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내용의 변화를 일으켜가며 주민속에 뿌리를 내리고, 민중의 연륵이자 새로운 형태의 가면극인 자인 팔광대에 영향을 주어 왔다. 즉, 이 배우잡희는 자인 단오제 때마다 여원무와 같이 공연되어 왔으며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여원무와 분리되어 자인팔광대로 독립하게 된 것이다.

현재 복원된 것을 1920년대의 공연을 바탕으로 한 것인데 그 당시의 공연은 박으로 가면을 만들고, 전래된 대본대로 연희되는 등 완전한 형태의 극을 보전하였으나 그 뒤로 여러 가지 행사의 여건이 어려워 퇴보의 길을 걸어왔다. 더구나 일제의 탄압으로 자인 단오제가 폐지됨에 따라 1936년의 공연을 마지막으로 맥이 끊어지고 말았으나 1988년에 와서 후손들에 의해 어렵게 복원되었고 제2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 문화공보부장관상을 수상하여전통재현의 빛을 보게 되었다.

자료제공 : (사)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

팔광대 놀이 갤러리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좋아요 추천